HOME / 학부소개 / 교수진 / 명예교수 / 이희봉 교수
1967 – 1971 | 서울대 건축학과 학사 |
1976 – 1978 | 서울대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 |
1980 – 1985 | 미 펜실베이니아 대학(Univ. of Pennsylvania) 건축학 Ph.D.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역사에서 – 사물, 형태, 양식 위주로 서술되는 기존 주류의 시각적 건축사와 유물론적 건축사를 부정한다. 대신 건축의 근본 목적인 들어가 사는 사람들의 삶을 위주로 건축 형태와 결합시키는 새로운 방법의 건축사를 지향한다. 설계와 무관한 건축사를 탈피하여 과거 건축물을 당시의 상황 속에서 재구성하여 당시 왜 그렇게 설계했을까를 탐구하여 현재의 설계와 결합시킨다.
설계에서 – 설계교육과 현상설계에서 형태미 위주의 설계를 거부하고 인간중심 설계를 지향한다. 반세기 전의 서양에서의 근대건축 실패를 답습하고 있는 한국적 현실에서 벗어나 거주후 평가를 통하여 사용자 중심 건축, 사용자 다문화 건축을 추구한다.
방법은 – 문화인류학 현장연구의 관찰과 면담 방법을 사용하여 건축의 진리를 탐구한다.
한국 건축 역사 및 이론 |
아시아 건축 역사 및 이론 |
건축계획의 사용자 중심건축 |
거주후 평가 |
다문화 민족건축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71. 06 – 1974. 09 | 해군 시설장교, 기지발전 담당관 |
1974. 09 – 1976. 02 | 일양건축연구소 설계 연구원 |
1976. 02 – 1978. 08 | 원도시 건축연구소 설계실장 |
1978. 09 – 1988. 02 | 울산대학교 교수 |
1988. 02 – 2013. 08 |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1991. 03 – 1993. 02 | 중앙대 건설대학장 |
1996. 02 – 1997. 02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교환교수 |
2001. 01 – 2003. 12 | 한국건축역사학회 부회장 |
1979. 11 | 제3회 공간대상. 공간사 |
2005. 11 | 송현 논문상. 한국건축역사학회 |
2013. 04 | 대한건축학회 특별상 남파상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86. 07 | 우리네 생활양식과 저네의 주거형태- 현실에서 출발한 주거설계를 향하여 주택, 대한주택공사 |
1988. 03 | 인간회복의 도시설계를 위한 부분문화 이론과 방법 국토계획, 대한국토계획학회 |
1991. 02 | 주민중심의 신도시개발을 위한 현장연구 – 과천, 목동, 상계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1991. 04 | 한국인의 생활양식에 맞는 주거형태 설계를 위한 현장연구 – 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1991. 06 | 한국인의 의료문화에 맞는 병원 병실계획을 위한 현장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1992. 06 | 한국건축 역사연구의 비판과 방향모색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1992. 12 | 안팎구조 – 한국건축공간의 구조주의적 해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1998. 09 | Team 10의 CIAM 탈퇴가 지금 우리에게 주는 교훈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1998. 11 | 재미교포 주거건축을 통한 사용자 문화 현장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1999. 12 | 상류 전통 주거 강릉 선교장의 해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1999. 12 | 부엌 구조와 생활의 대응을 바탕으로 한 제주도 민가유형의 문화지역적 해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2. 03 | 전통상류주거 해남 녹우당의 해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3. 08 | 장애인 주거복지시설 계획을 위한 심층 현장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2003. 09 | 상류 전통주거 거창 동계 정온 종택의 공간과 생활의 복원을 통한 해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4. 07 | 사용자 중심으로 본 종합병원 내외과 병실의 차별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2004. 12 | 거주자의 문화를 중심으로 본 강화도 최소중정형 튼 입구자집의 해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5. 09 | 거주자 생활중심으로 본 경기 고양민가 연구 – 폐쇄형 ㄱㄴ자집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7. 12 | 조선시대 서원건축 재해석: 기호학파 서원에의 가치부여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8. 08 | 인도 불교 석굴사원의 시원과 전개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09. 12 | 탑의 원조 인도 스투파의 형태 해석- 인도 전역 현장답사를 바탕으로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10. 08 | 탑 용어에 대한 근본 고찰 및 제안 – 인도 스투파에서부터 한국석탑의 변환을 바탕으로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10. 12 | 고회화의 생활복원과 공간·형태 심층관찰을 통한 현장연구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11. 04 | 신라 분황사탑의 모전석탑 설에 대한 문제제기와 고찰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2012. 11 | 인도 스투파에서 자궁-알 상징성 고찰을 통한 탑상부 복발 앙화와 단청 석류동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2012. 12 | 서양 중세 바실리카 교회와 인도 불교 석굴 차이탸와의 연관성 비교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2023. 02 | 사찰 찰(刹)의 어원 규명과 불교계 통용 오류 검증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01. 05 | 문화로서의 주거 연구 고찰 한국문화인류학회 전국대회 |
2002. 07 | アパート空間での 「もの」 配列を通した生活文化の解釋 國際 シンポジウム. 大阪 日本國立民族學博物館 |
2002. 10 | Limitation of Typology on Folk House Study- Field Study at Jeju Island 2002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st Asian Architectural History |
2004. 04 | 건축에서의 과학적 연구의 한계와 질적연구에 관하여 대한건축학회 춘계 학술심포지엄 |
2012. 12 | Fundamental Mis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Pagoda in East Asia East Asian Architectural Culture, International Conference. Hong Kong Univ. |
2015. 05 | 사람/사물로 본 한국문화인류학계 한계 탈출 한국문화인류학회 춘계학술대회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08 | 판교 환풍구 붕괴 사고로 본 전문가의 사회적 책임 건축, 대한건축학회 |
2024. 10 | 분당 정자교 붕괴원인의 공식발표에 대한 이견 건축, 대한건축학회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93. 12 | 노점상의 실태와 대응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2013. 05 | 한국건축의 모든 것 죽서루 한국학술정보 |
2017. 11 | 한국인, 어떤 집에서 살았나? – 한국 현대 주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